*<프레시안>에 보도된 29일 기자회견 소식입니다.
재보선 틈타 아프간 파병 결정…야당·시민단체 '결집'
50여개 단체 '반전평화연대' 결성…파병 논란 재점화
정부는 28일 외교ㆍ통일ㆍ국방장관, 국정원장,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등이 참석한 외교안보정책조정회의를 열고 아프가니스탄에 지방재건팀(PRT) 경비를 위한 파병 방침을 정했다.정부는 아프간에 파견하는 군대를 '보호병력'이라고 부르며 '비(非)전투병'으로...
2009년 10월 29일 목요일
[언론 스크랩] <민중의 소리> '반전평화연대', "파병반대 행동 돌입할 것"

*<민중의 소리>에서 보도한 29일 기자회견 소식입니다.
아프간 재파병 추진에 거세지는 '반전' 목소리
'반전평화연대', "파병반대 행동 돌입할 것"
조태근 기자 taegun@vop.co.kr
!--
function toggle_pop() {
document.all['article_pop'].style.display = "none";
}
#article_pop...
[기자회견]미국의 침략전쟁을 뒷받침하는 아프가니스탄 재파병 반대한다

기자회견문
미국의 침략전쟁을 뒷받침하는
아프가니스탄 재파병 반대한다
1.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지난 10월 26일 국회에서 아프간에 “최소한 130명의 민간 전문 요원(PRT)을 파견할 생각이며 독자적인 경비”를 위해 “보호 병력”을 보내려 한다고 밝혔다. 정부 소식통의 말로는 한국에서 파견한 지역재건팀(PRT) 보호를 명분으로 “독자적 기지”를 건설하는 방안까지 논의 중이라고...
2009년 10월 28일 수요일
[공지 : 긴급 기자회견]아프간 재파병 반대한다

1. 반전평화연대(준)은 이명박 정부의 아프가니스탄(이하 아프간) 재파병 방침에 반대해 10월 29일(목) 오전 10시 외교통상부 앞에서 기자회견을 개최합니다.
2. 11월 18일 오바마 방한을 앞두고 이명박 정부의 한국군 아프간 재파병 추진이 급물살을 타고 있습니다. 지난 주 방한한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장관 또한 한국 정부에 아프간 전쟁 지원을 강력히 요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10월 26일 유명환 외교통상부...
2009년 10월 27일 화요일
[긴급 성명] 이명박 정부의 아프가니스탄 재파병 시도 반대한다
1. 어제(10월 26일) 국회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은 아프간에 “최소한 130명의 민간 전문 요원(PRT)을 파견할 생각이며 독자적인 경비”를 위해 “보호 병력”을 보내려 한다고 밝혔다. 정부 소식통의 말로는 한국에서 파견한 지역재건팀(PRT) 보호를 명분으로 “독자적 기지”를 건설하는 방안까지 논의 중이라고 한다. 이명박 정부는 수차례 아프가니스탄 재파병은 없다고 말하더니 몰래 재파병을 준비해 온 것이다. 명분 없는 전쟁을 8년이 넘도록 지속해 온 미국 정부는 이 전쟁을 당장 중단해야 함에도 동맹국들에 적극적인 지원을 요구하고...
2009년 10월 15일 목요일
반전평화보고서 <반전평화연대> 1호 (2009.10.15 발행)

반전평화연대(준)은 10월 첫 발행을 시작으로 매달 오바마의 ‘아프팍’ 전쟁 동향, 반전 운동 소식 등 반전 글과 반전 운동의 소식을 담은 반전 운동 모니터 보고서 <반전평화연대>를 발행합니다. 이 보고서가 반전 여론을 높이고 반전 운동의 토대를 탄탄하게 하기 위한 값진 소식들을 전달하는 목소리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 제목을 클릭하시면 해당 글로 이동합니다.
* 한글파일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동향] 이라크 _ 철군으로 포장한 '점령 연장'계획
철군으로 포장한 ‘점령 연장’ 계획
미국이 이라크를 침략·점령한지 6년이 훌쩍 넘었다. 그 동안 얼마나 많은 이라크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는가. 2003년 이래 지금까지 학살당한 이라크인의 숫자가 1백2십만 명이 넘는다(http://www.justforeignpolicy.org 참고). 또한 사망한 미군의 숫자는 4천3백여 명이고 이라크 전쟁에 쏟아 부은 돈은 6천억 달러에 달한다.
그러나 ‘이라크 철군’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당선된 오바마는 진정 부시 정권과 다른 행보를 걷고 있을까. 오바마는 취임 이후...
2009년 10월 14일 수요일
[여는글] 반전 보고서 <반전평화연대> 발행
여는 글
미국이 아프간을 침공한지 8년이 지나고 있습니다. “항구적 자유 작전”으로 시작한 아프간 전쟁이 “항구적 재앙”이 되고 있습니다. 승리를 장담하던 전쟁광들은 아프간 전쟁이 제2의 베트남 신드롬을 낳을까봐 전전긍긍하고 있습니다. 미국 내에서는 다시 반전 여론이 증가하고 있고, 다양한 형태의 반전 운동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오바마 정부는 아프간 전략을 재검토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철군은 없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재검토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말합니다. 지난 8년은 우리에게 무엇을 보여 줬습니까?...
[동향] 팔레스타인 _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봉쇄와 정치적 분할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봉쇄와 정치적 분할
1967년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의 가자지구를 점령한 이후 이 지역에 대한 봉쇄가 계속되고 있다. 특히 2007년 6월 하마스 정부를 무너뜨리기 위해 미국과 이스라엘이 지원한 파타의 쿠데타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뒤에는 가자지구에 대한 봉쇄의 수위가 한층 높아졌다. 지난 2008년~2009년 겨울에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 대한 전면적인 군사공격을 감행하여 가자지구 150만 명(한국의 광주광역시 인구와 비슷)의 주민 가운데 1,400여명이 사망하고 5,300여명이...
[반전운동소식] 조금씩 되살아나는 국제 반전 운동
전 세계인들은 말한다 :
당장 아프간에 주둔중인 군인들을 집으로 돌려보내라!
전 세계 50퍼센트가 넘는 평범한 사람들이 아프간 전쟁 종식과 점령군의 즉각 철군을 원한다. 2007년 아프간에서 철군한 한국에서도 59퍼센트의 사람들이 철군을 요구한다.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장관은 동맹국들이 군대를 아프간에 보내지 않아 상황이 날로 악화되고 있다고 말한다. 미국과의 “혈맹”을 강조해 온 이명박 정부는 지난해 촛불 항쟁에 밀려 아프간 재파병 기회를 놓친 듯하다. 이명박 정부는 아프간 재파병 기회를 엿보며 지원을...
[동향] 확대되는 오바마의 '아프팍' 전쟁
확대되는 오바마의 ‘아프팍’ 전쟁
아프간 전쟁이 10월 7일로 8년째를 맞았다. 현재 언론 보도에 따르면 아프간 전쟁으로 연합군과 아프간군이 6천6백여 명 사망했고, 이 중 1천4백여 명이 외국군이다. 민간인 사망자는 집계조차 불가능할 정도이다. 올해 5월 아프간 서부 파라주(州) 지역의 연합군 오폭으로 1백50여 명이 사망한 사건과 9월 4일 쿤두즈 강 인근에서 나토군의 공습으로 1백30여명이 사망한 사건은 점령이 지속될수록 민간인 피해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오바마에게 아프간 전쟁을...
[번역글 1] 말라라이 조야 인터뷰
미국의 점령에 맞선 아프가니스탄의 목소리
"테러와의 전쟁"이라는 드라마를 끝내야 한다1)
제임스 코건 (James Cogan)
아프가니스탄 전쟁이 여성들에게 민주주의와 자유를 가져다주었다며 전쟁을 정당화하려는 소위 "좌파"와 진보주의자들은 말라라이 조야가 하는 이야기를 싫어한다. 31살의 아프가니스탄 여성이자 정치인인 그녀는 자신의 나라에서 벌어지고 있는 현실에 관해 깊이 있고 진실 된 이야기를 전한다. 바로 미국과 나토의 점령이 오랫동안 고통받아온 아프가니스탄 사람들에게 "비참한 상황"을...
[번역글 2_ 타리크 알리 인터뷰]
오바마의 노벨평화상 수상은 납득할 수 없는 일 -오바마의 ‘말’과 달리 현실은 전혀 진전되지 않았다
다음은 미국의 진보적인 라디오-TV 뉴스 프로그램 <데모크라시 나우(Democracy Now!)>가 반전 활동가이자 <뉴레프트 리뷰> 편집자인 타리크 알리를 만나 인터뷰한 것을 일부 발췌한 것이다.
DN: 오바마의 노벨평화상 수상을 어떻게 보십니까?
노벨상위원회의 결정은 정말 놀랍습니다. 그들은 이전에도 미국 대통령들에게 노벨평화상을 수여한 적이 있습니다. 특별히...